부동산
2020년은 부동산의 해 라고 할 정도로 '집' 에 대한 이슈가 많았습니다. 특히 이번 정부는 집값을 잡는다는 명목하에 수도 없이 부동산 정책을 내놓았지만, 결과적으로는 잡히지 않았습니다. 2021년에도 추세는 별반 다르지 않을거라 생각됩니다.
지금부터 필자가 생각하는 부동산을 사야하는 이유들에 대해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필자는 비 전문가이니 주관적인 의견입니다.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1. 실거주 안정
부동산은 주거와 직결되어 있다. 너무나도 당연한 이유인 실거주 안정을 목적으로 구매를 해야한다.
앞으로 가격이 떨어질거라고 생각이 들어도 이 이유로 사야한다.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면 사회적으로 혼란이 올것이고 지금 다니는 직장생활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런 상황에서 실거주가 안정되어 있지 않다면 더욱 더 힘들어질 것이다.
만약 매수가 가능한 상황이지만 앞으로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이 들어 매수를 안하는 상황이라면 꼭 매수를 해야한다. 지금이야 살지 말지 선택을 할 수 있지만 나중엔 선택할 수 없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대출이 감당이 된다면 미래에 후회를 할 지언정 불확실한 미래로 부터 본인을 보호하자.
2. 부동산 가격은 정부가 보호해야한다.
요즘 문재인정부에 불만이 많은 사람들이 있을것이다. 특히 무주택자들은 정말 불만이 많을거라 예상된다. 부동산 관련 기사들을 보면 댓글에 정부에 대한 험담만 이어진다. 댓글을 보면 '부동산 가격을 몇 년 전으로 돌려야한다. ', '2배가 올랐으니 다시 반으로 내려야한다.' 등 가격이 내려야한다는 글들이 있다. 하지만! 필자 생각엔 정부 역시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는것을 원치 않는다.
한국 가계자산 80%는 부동산 등 비금융
한국 가계자산 80%는 부동산 등 비금융
한국 가계자산이 부동산과 원화에 쏠린 것으로 나타났다. 메트라이프생명은 현대경제연구원과 함께 서울 등 수도권에 거주하는 30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자산 배분에 …
www.donga.com
정부는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는것을 원하지 않을거라 생각된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자산의 대부분은 부동산이다.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면 대한민국의 자산가치가 떨어진다고 볼 수 있을것이다. 또한 부동산은 담보대출을 많이 받고 있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면 나라에 혼란이 올 수 있다. 그리고 건설업을 포기할 수 없다. 우리나라의 산업군중 건설업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적지 않다. 부동산 가격 하락이 오면 건설업이 휘청일것이다. 이로인해 경제성장률 하락과 실업자 발생(19년도 기준 건설업 종사자수 : 약 200만명) 가능성이 높다.
출처 : 대한건설협회
박근혜 정부때는 오히려 미분양된 아파트들이 많아 정부에서 아파트를 좀 사라고 까지 했다. 이를 일부 사람들은 현 정부와 비교를 하며 박근혜 정부가 더 낫다고 얘기하지만, 과연 미래 가격을 예측해서 국민들을 위해 부동산을 사라고 했을까? 건설업이 흔들려 나라 경제가 어려워질까봐. 가 더 정답에 가까울것 같다.
실제 두산건설은 무려 10년동안 미분양이 되었던 일산 위브더 제니스를 짓고 매각위기다. 참고로 두산은 2020년 자산총액기준 우리나라 재계 순위 15위다.
때문에 정부는 부동산가격이 천천히 상승하길 원할거라 생각이 든다.
3. 투자
부동산 한채는 투자를 위해 사는것은 좀 위험한 생각일 수 있지만, 그렇다고 부동산을 매수하는데 투자에 대한 생각을 접을 수는 없다.
일반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수단은 크게 주식, 부동산 이 두가지이다. 간혹 뉴스를 보면 장기적으로 봤을때 주식이 부동산보다 낫다. 고 하지만 내 생각은 다르다.
출처 : m.fundsolution.co.kr/upload/FOK/content/20180315012805233.pdf
위 그림은 삼성자산운용에서 발표한 자료이다. 최근 자료는 아니지만 자료에 따르면 코스피와 전국 아파트 가격을 기준으로 매매가격을 비교했다.
약 30년간 주식은 무려 15.4배, 아파트가격은 6.0 배 (최근엔 아파트가격이 많이 올라 더 격차가 줄었을 것이다.)
주식은 15.4배!
아파트는 6.0배!
하지만 주식과 아파트는 단순 매매가격으로 비교하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우선 투자금 자체가 너무 다르다.
예를 들어 5000만원으로 각각 주식과 아파트에 투자한다고 생각해보자. 주식은 5000만원으로 ETF 든 개별 종목이든
5000만원 만큼 매수를 했을것이다. 하지만 아파트는? 5000만원짜리를 샀을까? 몇년전부터 LTV 로 대출을 묶기는 했지만 아무리 못해도 혹은 3억 이상을 매수했을것이다. 그럼 초기 자본부터 다르다.
주식은 5000만원 투자해서 15배 벌었으니 7억 5천만원이 되었을것이고, 아파트는 3억짜리를 매수했다고 하더라도 18억이다.
(물론 대출금에 대한 이자는 계산 안하냐, 주식도 대출받아서 하면 안되냐 할 수 있지만 주식은 저만큼 대출이 안나올 것이고 이자는 그냥 월세라고 생각하자)
이런 이유로 부동산은 꼭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끝까지 읽어주신 분이 계신다면 감사드립니다~ ㅎㅎ
우리 모두 닭갈비 먹고 힘 냅시다!
셰프초이스 춘천식닭갈비 (냉장)
COUPANG
www.coupang.com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